우아한 프로그래밍
article thumbnail

내달 5일 발표될 미국 11월 비농업 고용지표가 핵심 변수로 꼽힌다. 미국 노동시장이 과열된 것으로 나타날 경우 연준은 12월에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분석

미국의 노동시장이 과열된 것으로 나타나는데 금리를 동결하거나 더 나아가서 금리인상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고용이 증가하여 실업자가 감소하면 일하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다. 
위 상황을 노동시장이 과열되었다고 표현한다.

일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개인들의 소득이 높아지고, 시장전체로 보면 유동성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사람들이 소득이 많아지면 일단 소득이 없던 때보다 많은 물건을 구매하고자 한다.
즉 사람들의 구매력이 올라가고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일정하다면 물건의 가격은 오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연준에서는 금리를 유지하거나 더 강경책으로 인상시켜서 시장과열을 막아야 한다.
금리를 일단 올리거나 유지하면 낮았던 시절보다 기업에서는 생산설비 투자, 신규인력 확보 등을 하지 않게된다.

그럼 개인의 입장에서는 소득이 감소하기 때문에 시장전체적으로도 유동성은 감소하게된다.
즉 개인들의 소득이 감소하면 구매력이 떨어져 잘 벌던 때보다 더 절약해서 사용하게 된다.
즉 생산이 그대로 인데 사람들이 소비를 하지 않게되면 물건을 파는 입장에서는 세일을 해서라도 팔게되므로 물가는 하락하게 된다.

 

흐름도

profile

우아한 프로그래밍

@자바조아!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